본문 바로가기
은혜의 말씀 창세기

안식과 순종: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의 삶(창 2장)

by essay2598 2024. 7. 14.
728x90
반응형
SMALL

설교 제목

“안식과 순종: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의 삶”

성경 본문

창세기 2장

서론

창세기 2장은 하나님의 창조 사역의 완성을 나타내며, 특히 인간과의 관계와 안식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신 것은 우리가 삶의 균형을 찾고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살아가야 함을 보여줍니다. 오늘 우리는 창세기 2장을 통해 하나님의 창조와 안식의 의미를 되새기고, 우리 삶에 적용해보고자 합니다.

첫째 대지: 하나님의 안식과 우리의 쉼

창세기 2장 1-3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일곱째 날에 안식하신 것을 이야기합니다. "하나님이 그가 하시던 일을 일곱째 날에 마치시니 그의 하시던 모든 일을 그치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 여기서 '안식'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쉬는 것을 넘어서, 하나님께서 창조 사역을 완성하셨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우리는 일상 속에서 쉼을 통해 하나님의 창조와 그분의 은혜를 기억하고 감사해야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바쁜 일상과 과도한 업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휴식을 잊고 살아갑니다. 마치 마법에 걸린 것처럼 끊임없이 일해야만 할 것 같은 압박감에 시달립니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 보세요. 만약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일곱째 날에도 "아, 아직도 할 일이 많아"라고 하셨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창세기 2장은 하나님의 본을 따르라고 우리에게 이야기합니다. 하나님도 쉬셨는데, 우리도 쉬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예를 들어, 한 유명한 기업의 CEO가 매주 하루를 온전히 가족과 보내며 휴식하는데, 이는 그의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는 직원들에게 "열심히 일할 때는 일하고, 쉴 때는 제대로 쉬어라"라고 조언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정기적인 안식을 통해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순응하며,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머 하나 추가해보죠. 요즘 사람들은 주말이 되면 "넷플릭스 안식일"을 즐깁니다. 드라마 한 시즌을 다 보고 나서야 비로소 "아, 이제 좀 쉬는 것 같아"라고 느낀다지요. 그러나 진정한 안식은 단순한 시간 낭비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축복을 기억하고, 그 안에서 회복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일주일에 한 번 하나님의 안식일을 기억하며, 그분의 창조 사역을 되새기고 감사해야 합니다. 또한, 이 안식을 통해 몸과 마음을 회복하며, 새로운 힘을 얻어 하나님께서 맡기신 사명을 감당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하나님께서 주신 안식일을 소중히 여기고, 그 시간을 통해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둘째 대지: 에덴 동산과 인간의 책임

창세기 2장 8-15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에덴 동산을 창설하시고, 아담을 그곳에 두어 동산을 가꾸고 지키게 하신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동방에 에덴에 동산을 창설하시고 그 지으신 사람을 거기에 두시니라."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중요한 책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잘 돌보고 보전해야 할 사명을 받았습니다.
에덴 동산을 생각해 봅시다. 아담은 그저 매일 아침 동산을 거닐며 "와, 오늘도 날씨가 좋네"라고 감탄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에게 동산을 가꾸고 지키는 책임을 주셨습니다. 이는 우리가 단순히 자연을 즐기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돌보고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요즘 우리가 환경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맡기신 이 아름다운 세상을 지켜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정원을 가꾸는 정원사처럼, 우리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을 잘 돌보고 가꾸어야 합니다. 정원사가 정원을 돌보지 않으면 정원은 황폐해지듯이, 우리가 이 세상을 돌보지 않으면 하나님의 창조 세계는 파괴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됩니다.
또한, 우리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한 작은 마을에서 주민들이 합심하여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을 실천한 결과, 마을은 깨끗하고 아름답게 변했습니다. 이처럼 우리의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무리 작은 일도 시작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처럼,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책임을 다하기 위해 작은 것부터 실천해야 합니다.
여기서 유머를 하나 더 추가해 보겠습니다. 여러분, 혹시 집에서 반려식물을 키우면서 "나는 식물 살리기 전문가"라고 자부하시는 분 계신가요? 그런데도 매번 식물이 시들어가는 경험을 해보셨나요? 아담도 처음엔 그랬을지도 모릅니다. 중요한 건, 우리가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돌보는 것이죠.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돌보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수할 수도 있고, 때론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지만, 하나님께서 주신 사명이라면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셋째 대지: 인간의 창조와 관계

창세기 2장 18-24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아담의 갈비뼈로 하와를 창조하시고, 그들이 한 몸이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이르시되 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아니하니 내가 그를 위하여 돕는 배필을 지으리라 하시니라."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고, 그들 간에 깊은 관계를 맺게 하셨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이웃과도 사랑의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하시고, 그의 갈비뼈로 하와를 만드셨습니다. 이는 인간이 하나님과, 그리고 서로와 깊은 관계를 맺어야 함을 상징합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고, 그들 간에 깊은 관계를 맺게 하신 것은, 우리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이웃과도 사랑의 관계를 맺어야 함을 상기시켜줍니다.
예를 들어, 한 교회에서 성도들이 서로를 위해 기도하고, 어려운 이웃을 도우며 사랑을 실천한 결과, 그 교회는 따뜻하고 사랑이 넘치는 공동체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이웃과도 사랑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야 합니다.
또한, 인간의 창조와 관계는 결혼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담과 하와가 한 몸이 되는 것은 결혼의 신성함을 나타냅니다. 결혼은 단순히 두 사람이 함께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맺어주신 신성한 관계입니다. 우리는 결혼을 통해 하나님과 더 깊은 관계를 맺고, 서로를 사랑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여기서 유머 하나 더 넣어보겠습니다. 결혼 생활을 하면서 부부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해 다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한 번은 어떤 남편이 아내에게 "내가 당신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알아?"라고 물었더니, 아내가 "알지, 그런데 그 사랑이 왜 항상 치약 튜브를 중간에서 짜는 거야?"라고 대답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처럼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고, 사랑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이웃과 사랑의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신 목적은 우리가 그분과 깊은 관계를 맺고, 그분의 사랑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매일매일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이웃과도 사랑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결론 전 감동적인 이야기나 예화

한 작은 마을에서 주민들이 합심하여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을 실천한 결과, 마을은 깨끗하고 아름답게 변했습니다. 이처럼 우리의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작은 실천이 모여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돌보고, 지키는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결론 및 도전

창세기 2장은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고, 일곱째 날에 안식하신 것과 인간에게 주신 책임과 관계에 대해 가르쳐줍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잘 돌보고, 지켜야 할 사명을 받았습니다. 또한, 하나님과의 깊은 관계를 맺고, 이웃과도 사랑의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 우리의 작은 실천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지키기 위한 작은 실천을 시작합시다.

주제에 맞는 찬송가 및 CCM 2곡

  1. 찬송가 447장 “주 음성 외에는”
  2. CCM “사랑의 하나님”

설교문 적용 3가지

  1. 매일 하나님의 창조 세계를 생각하며 감사의 기도를 드립시다.
  2. 일상에서 환경을 보호하는 작은 실천을 시작합시다.
  3.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이웃과 사랑의 관계를 유지합시다.

결단과 도전이 되는 기도문 3가지

  1. “하나님, 당신의 창조 세계를 기억하며 감사드립니다. 우리의 일상 속에서 작은 실천을 통해 이 세상을 더 아름답게 가꿀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2. “주님, 우리의 무관심으로 인해 파괴된 자연을 회복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를 주시옵소서. 우리의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믿습니다.”
  3. “하나님, 우리가 당신의 형상대로 창조된 존재임을 기억하며, 당신의 사랑과 자비로 이 세상을 돌보고 지킬 수 있도록 인도해주소서.”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