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낫세 지파의 기업과 불만(여호수아 17:7-18)
서론
본문에 나타난 기업과 불만의 이야기
이스라엘 백성들이 약속의 땅을 분배받을 때, 기업은 단순한 땅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축복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러나 므낫세 지파는 "받은 땅이 부족하다"는 불만을 제기합니다. 이는 현대에도 하나님의 축복을 누리면서도 여전히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우리의 태도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대지1: 므낫세 지파가 받은 기업과 하나님의 축복 (여호수아 17:7-11)
문맥 파악
므낫세 지파는 요셉의 아들 므낫세의 후손으로, 이스라엘 열두 지파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요셉의 큰 축복 덕분에 다른 지파보다 많은 땅을 분배받았습니다. 므낫세 지파의 기업은 요단강 동쪽과 서쪽에 걸쳐 넓게 퍼져 있었으며, 이스르엘 평야와 주변 산지, 그리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땅들을 포함했습니다. 본문에서 보면, 그들의 경계는 믹므다, 엔답부아, 이스르엘 평야에 이르기까지 비옥하고 농업에 적합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이 땅을 온전히 차지하지 못했습니다. 본문 12절에 따르면, 므낫세 지파는 그 땅에 거주하는 가나안 족속들을 쫓아내지 않았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불순종의 결과로, 주어진 축복을 온전히 누리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내용 흐름
하나님께서는 므낫세 지파에게 넓은 기업을 주셨지만, 그들은 주어진 기회를 온전히 활용하지 못했습니다. 비옥한 평야와 산악 지역은 분명히 큰 축복이었지만, 거기에는 여전히 가나안 족속들이 살고 있었고, 그들은 강한 군사력을 가진 사람들이었습니다. 므낫세 지파는 그들과의 싸움을 피하기 위해 그들을 종으로 삼는 타협을 선택했습니다(11절). 그러나 이 결정은 결국 이스라엘 공동체 전체에 큰 어려움을 가져왔습니다. 가나안 족속과의 공존은 영적 순결을 위협했고, 나중에는 우상숭배와 같은 문제가 이스라엘 내부로 침투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므낫세 지파가 보인 태도는 우리에게 큰 교훈을 줍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기회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불순종과 타협의 길을 선택하면 결국 축복은 온전하게 누릴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순종을 요구하시며, 축복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을 때 그것을 제대로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십니다.
적용 사례
오늘날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이 주신 축복을 온전히 누리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직장, 가족, 재능 등 하나님께서 주신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때로는 세상과 타협하는 선택을 할 때가 있습니다. 므낫세 지파처럼 "하나님이 이미 주신 축복을 어떻게 온전히 누릴 것인가?"를 고민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우리가 받은 기업, 즉 하나님의 선물을 감사함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사용해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삶을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대지2: 므낫세 지파의 불만과 여호수아의 권면 (여호수아 17:12-15)
문맥 파악
므낫세 지파는 다른 지파들보다 더 큰 기업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불만을 품었습니다. 그들은 여호수아를 찾아가 자신들이 "큰 민족"이기 때문에 받은 기업이 부족하다고 주장합니다(14절). 그러나 여호수아는 그들의 불만을 듣고 단순히 더 많은 땅을 주는 대신, 그들이 받은 산지를 개척하라고 명령합니다(15절). 여호수아는 그들이 강한 민족이며, 산지를 차지할 능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합니다.
내용 흐름
므낫세 지파의 불만은 사실상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려는 태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이미 주신 축복에 대해 감사하기보다는, 불만을 품고 더 많은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여호수아는 그들의 불평을 들어주지 않고, 이미 받은 기업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개척하라고 권면합니다. 산지는 가나안 족속이 강하게 방어하고 있었고, 거기에는 철병거가 있어 정복하기 어려운 땅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여호수아는 "너희는 강한 민족이며, 능히 그들을 몰아낼 수 있다"고 격려하며, 하나님께서 그들과 함께하심을 상기시켰습니다.
이 장면은 우리가 받은 축복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가진 것을 소중히 여기고, 그것을 확장시키기 위해 노력하기를 원하십니다. 더 많은 것을 바라기 전에,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것을 최선을 다해 활용해야 합니다.
적용 사례
우리의 삶에서도 므낫세 지파와 같은 불만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직장에서 더 높은 직위, 가정에서 더 많은 안정, 혹은 영적인 삶에서 더 큰 축복을 바라며 하나님께 불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우리에게 "먼저 지금 주어진 것을 활용하고 개척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믿음으로 하나님의 도우심을 신뢰하며, 스스로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대지3: 철병거를 두려워하지 않는 믿음 (여호수아 17:16-18)
문맥 파악
므낫세 지파는 여호수아의 권면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차지해야 할 땅에 철병거를 가진 가나안 족속이 살고 있다는 이유로 두려워했습니다(16절). 철병거는 당시 전쟁에서 매우 강력한 무기였기 때문에 므낫세 지파는 이들을 몰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여호수아는 그들을 책망하며, 하나님께서 이미 승리를 약속하셨음을 상기시킵니다. 여호수아는 므낫세 지파가 강한 민족이며, 능히 그 땅을 차지할 수 있다고 단언합니다(17-18절).
내용 흐름
철병거는 므낫세 지파에게 큰 장애물처럼 보였지만, 그것은 하나님의 권능 앞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여호수아는 철병거를 두려워하는 그들에게 담대함을 가지라고 격려합니다. 그는 그들이 받은 땅을 온전히 차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주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믿고 나아가라고 말합니다. 여호수아의 권면은 단순히 인간적인 격려가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에 기초한 믿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므낫세 지파의 두려움은 오늘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지 못하고, 눈앞의 장애물에만 초점을 맞출 때 믿음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능력을 신뢰하며 나아갈 때, 그 어떤 철병거도 하나님의 약속을 막을 수 없습니다.
적용 사례
우리 삶에서도 '철병거'와 같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경제적 문제, 인간관계의 어려움, 혹은 영적인 성장에 방해가 되는 장애물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며, 그분이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할 때 우리는 그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믿음으로 두려움을 이기고, 하나님께서 주신 약속을 붙잡고 나아가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결론: 도전과 권면
므낫세 지파의 이야기는 우리가 받은 하나님의 축복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하는지 깊은 교훈을 줍니다. 하나님께서는 이미 넉넉하고 풍성한 기업을 주셨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불평이 아니라 믿음의 도전이 필요합니다. 눈앞의 철병거 같은 문제들은 하나님의 능력 안에서 아무런 장애물이 되지 않습니다.
오늘 우리는 받은 축복을 감사함으로 바라보고, 순종과 노력으로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삶을 결단해야 합니다. 주어진 상황을 핑계 삼기보다는, 현재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고 담대히 나아가십시오. 하나님의 능력을 신뢰하며 믿음으로 도전할 때, 당신의 삶에 주어진 기업은 흥왕하게 될 것입니다. "강하고 담대하라"는 여호수아의 권면을 마음에 새기며, 하나님과 함께 도전하는 삶을 사십시오.
오늘의 기도
하나님, 우리에게 주신 축복에 감사하며, 불만 대신 믿음과 순종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게 하소서. 철병거 같은 문제 앞에서도 주님의 능력을 의지하며 담대히 나아가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묵상과 설교(매일성경)_새벽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으로 일구는 기업(여호수아 19:1-23) (1) | 2025.01.27 |
---|---|
어느 때까지 지체하겠느냐(여호수아 18:1-28) (0) | 2025.01.26 |
에브라임 지파의 기업(여호수아 16:1-17:6) (0) | 2025.01.24 |
유다 지파의 성읍들(여호수아 15:20-63) (0) | 2025.01.23 |
선두에 선 유다 지파와 갈렙(여호수아 15:1-19) (0) | 2025.01.22 |